홈 > 종합뉴스 > IT/과학 > IT/과학일반
새 교육대통령에게 바란다
연간 예산 6조 1500억원을 다루고, 교원 및 행정직원 6만 명의 인사권, 특목고 등 학교 신설, 학군 조정,수준별 이동수업 등에 대한 권한을 가지있는 교육대통령이 선출됐다.
하지만, 백년대계의 선장을 선출한 이번 선거는 많은 아쉬움을 남긴 선거였다.
정책보다는 이념대결로 얼룩진 선거기간 동안 정작 국민들 관심밖에 머물며 15.4%라는 극히 저조한 투표율로 나타났다.
지난해 2월 부산시교육감 선거(15.3%)보다는 불과 0.05% 포인트 높아 가까스로 `역대 최저치'를 면했고 전북교육감 선거(21%)와 충남교육감 선거(17.3%)와 비교해도 낮았다.
이번 선거는 상호비방, 특정단체의 개입과 일부 정치권까지 공공연히 지지활동하는 모습까지 보이는 등 기존 정치판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을 보였다.
적은 투표율은 대표성논란을 불거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.
20%에도 미치치 못한 투표율은 자칫 공약실행에도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. 대표성이 충분치 못하면 정책 추진 시 사사건건 반대 여론에 발목이 잡힐 가능성이 커 추진력 있게 일을 처리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.
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선거기간 동안 그들을 지지해 왔던 일부 단체들의 입김이 교육정책에 작용 될 지 모른다는 점이다.
학생을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할 `교육 대통령'이 일부 단체에 휘둘려 소신대로 일을 하지 못한다면 직선제의 의미 또한 퇴색될 것이기 때문이다.
입시에 시달리고, 아침밥 조차 재때 먹지 못하는 우리 학생들에게 참된 교육을 실행하고, 그들의 고통에 귀 귀울여야 하는 자리가 특정세력에 눈치만을 살피게 된다면, 아무런 의미가 없다.
이번에 선출된 교육감은 이념적 성향은 모두 잊어야 한다.
오로지 학생만을 위해 일 해야하며, 오로지 학생들의 눈높이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.
자율성을 강조하는 교육감이 선출된 만큼 그가 추진하는 정책들 이 자율을 통한 학력신장과 더불어 고난스럽기만 한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육관을 심어주고, 바른마음, 바른환경에서 참된 성인으로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만 한다.
그것이 교육감의 또 다른 사명감일 것이다.

총 덧글수 : 0